직장동료가 결혼식을 한다고 한다. 축의금을 얼마를 해야 결례가 아닐까, 남들은 얼마를 하고 있으며, 평균 얼마 정도를 해야 서로 불편하거나 부담스럽지 않을 수 있을까?
속된 말로, 주고도 욕 안 먹을 축의금은 얼마인지 한번 알아보자.
직장동료라고 이미 선을 그었다는 것은, 친함이 아니라 그저 동료라는 점으로 비춰 봤을 때,
10년 전 기준으로 직장 내에서도 안 친하면 3만 원, 조금 친하면 5만 원이었던 적도 있었다.
그럼 2023년 직장동료 결혼식 축의금 기준을 제시해 본다.
우선은 가까운가 먼가에 따라 액수가 나뉘며, 또 결혼식 참석 여부에 따라 나뉘며, 가족을 동반할 것인지 아닌지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최근 물가가 올라 웨딩홀 식대가 많이 올라서, 서울 기준으로 인기 있는 뷔페를 제공하는 웨딩홀의 경우에는, 평균 식대가 14만 원대를 호가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식장의 뷔페가 축의금을 산정하는 또 하나의 기준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정리해 보면,
직장동료 결혼식 축의금 산정 기준
- 가까운 사이인가, 먼 사이인가(업무에 연계성에 따라서도)
- 결혼식 참석여부
- 참석할 결혼식 웨딩홀 식대
직장동료 결혼식 축의금 적정 금액
그럼 산정기준에 따른 직장동료 결혼식 축의금 적정 금액은 얼마가 적당한지 알아보자.
사례에 따른 금액 정리로 들어가보자.
- 가까운 사이가 아니며, 직장동료 결혼식에 참석하지 않고 노쇼할 경우
→ 적정금액은 5만 원.
(책정기준 : 먼 사이/ 참석 안 함- 식대 상관없음) - 이번엔, 가까운 사이, 직장동료 결혼식 참석 안 함 노쇼
→ 적정금액은 10만 원.
(책정기준 : 가까운 사이/ 참석 안 함- 식대 상관없음) - 가까운 사이며 참석 시 식장의 식대가 비싸다.
→적정금액은 20만 원.
(책정기준 : 가까운 사이/ 참석- 식대 비쌈) - 가까운 사이가 아니며 참석 시 식장의 식대가 비싸다.
→적정금액은 10만 원.
(책정기준 : 가까운 사이 아님/ 참석- 식대 비쌈)
사실 결혼이 장사는 아닌데, 5만 원 내고 가족까지 데려가는 사람이 있기도 하고, 반대로 좋은 경사를 맞고도 손익을 계산하는 당사자들이 있기 때문에, (물론 아닌 사람들이 더 많다. 상식선이라는 걸 넘어서는 아주 소수의 사람들 때문에 이슈가 되곤 하는 거 같다.) 그래서 결혼의 축의금 문화는 언제나 고민스러우면서 요즘의 문제로 떠오르고 있기도 하다.
직장동료 결혼 축의금의 또 다른 문제
요즘은 비혼이 점점 많아지는 추세, 하물며 재혼도 흠이 아닌지라 또 식을 하면서 청첩장을 주는 경우가 있다. 축의금 문화는 사실 순수하게 축하하는 마음에 서라기보다는 우리의 전통인 상호 부조의 품앗이에 가까운 의미를 가지는 것은 확실하다.
그래서 뿌린 만큼 다시 거둘 것에 대한 생각을 갖는 것도 맞다. 그렇지만 비혼의 경우, 축의금만 내고 억울할 수 있다. 특히 재혼하는 사람들이 또다시 축의금을 받는다고 했을 땐 정말 화가 날 지경.
그럼 미혼자는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
비혼 축의금
어느 한 기업에서는 비혼 축의금 개념의 비혼지원금 제도를 만현했다고 한다. 그만큼 비혼이 보편화되고 있다는 것에 맞춰나간 공평한 복지제도가 아닌가 한다.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302018436b
미혼자도 부모에게서 독립해 살림을 마련하고 살아가려면 자금이 필요하다는 것은 결혼해서 새로운 살림을 살게 되는 결혼과 다름없다. 다만, 비혼 축의금은 잠재적으로 차후 결혼을 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어서 이 중 혜택을 받을 수 있을지 모른다는 우려가 있지만, 나중에라도 결혼을 하게 된다면 지원을 하지 않으면 되는 거니 문제가 없다.
요즘은 이혼율 재혼율도 높아서 이혼하고 재혼한다고 다시 지원한다면, 비혼 축의금 역시도 같은 개념으로 차후 결혼 하면 재지원하면 되는 것이니 그것 또한 문제가 없다고 본다.
미혼(未婚), 독신(獨身), 또는 싱글(single)이라고도 한다. 사실혼은 법적으로는 미혼이나, 통상 기혼으로 인식된다.
비혼(非婚)은 미혼(未婚)이라는 단어가 '혼인은 반드시 해야 하는 것이나 아직 하지 않은 상태'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는 생각에 기반하여 '혼인 상태가 아님'이라는 보다 주체적인 의미로 여성학계에서 사용하기 시작한 단어이다. 결혼을 하지 않고, 비혼을 선택하는 생각을 비혼주의라고 부른다.
2000년대 이후 독신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1인 가구가 증가하고, 비혼공동체가 등장했으며, 주택청약이나 의료법 등에 대한 정책 개선 요구도 늘어났다.
출처 : 위키백과(https://ko.wikipedia.org/wiki/%EB%B9%84%ED%98%BC%EC%9E%90)
요즘 결혼문화 축의금 문화
직장동료 결혼식 축의금을 내기 시작하는 시즌이 왔다. 봄이 온 것이다. 결혼 축의금 문화도 좀 달라져 가고 있듯, 결혼도 그 형태나 생각이 좀 많이 달라진 것을 느낀다.
이전에는 가문 대 가문의 결합이라는 의미가 커서 신부나 신랑이 모르는 너무 먼 친인척이나 아버지나 어머니의 비즈니스 파트너들이 결혼식장을 메웠다면, 이제는 그런 사람들도 잘 오지 않을뿐더러 신랑 신부에게 의미 있는 본인들의 결혼식이 모르는 사람들에 둘러 쌓인 남의 잔치 같아지는 것을 원치 않는 젊은 사람들이 많아지며 두 사람의 결합에 의미를 두는 스몰웨딩이나, 또는 의미 있는 가까운 사람들 그리고 정말 친한 사람들을 불러서 하는 결혼이 최근 경향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결혼식에 드는 식장비, 식대비가 워낙 높아지고 예약조차 어려운 일이 많아 이런 추세를 더 부추겼다고 본다.
앞으로의 결혼 문화는 얼마나 더 달라질지 또 직장동료 결혼식 축의금과 직장 내 비혼 축의금의 기준이 어떻게 될지 궁금해진다.
'세상의 모든 지식 > 잡다한 관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튀르키예 여진 튀르키예 어디 대참사 발생한 것인가 (0) | 2023.02.17 |
---|---|
유럽 최악 참사 튀르키예 단층 파열 (0) | 2023.02.15 |
이승기 결혼발표 이다인 누구? (0) | 2023.02.08 |
송중기 출연확정 탈북자 로기완으로의 삶 (0) | 2023.02.07 |
아침 커피와 삶은 계란의 조합 (0) | 2023.02.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