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의 모든 지식/잡다한 관심사

기장미역이 산모 미역으로 좋은 이유 10가지

by 혜오리 2023. 2. 28.
반응형

기장미역은 산모미역으로도 많이 알려져 있는데, 산모미역하면 기장에서 많이 구입하시는 이유가 기장미역이 맛있기로 유명하기 때문이다.

기장미역이 그럼 왜 맛있을까.

 

미역은 우선 종이 하나밖에서 없어서 어느 지역에서든 같은 종이다. 그런데 왜 맛있는 미역이 따로 있는 거지?

미역은, 자라는 지역에 따라 조금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동해와 남해에서 자라는 미역이 좀 다르다는 것이다.

우선 기장 미역이 속해있는 동해 미역에 대해 살펴보면,

1.  동해미역은

  • 첫째로, 길이가 길고 잎도 넓으며.
  • 둘째로 미역귀와 잎 사이의 줄기가 길다는 것.
  • 셋째로 끓였을 때 풀처럼 풀어지는 일이 없고,
  • 넷째, 탄력이 있다는 것.

이러한 동해의 미역을 북방형이라 하며, 기장미역은 북방형 미역이다.

보통 북방형 미역이 미역국을 끓이면 맛있다. 그래서 기장미역이 산모미역으로 유명한 것이다.

2. 바다의 환경적 요인

그리고 바다의 환경적 요인도 있는데, 미역은 거친 연안, 특히나 바닷물이 뒤섞이는 곳. 그래서 유기물이 풍부한 곳의 미역이 좋다. 그런데, 기장 앞바다 그렇다는 것이다. 항상 파도가 일렁이기 때문에 기장미역이 맛이 있다.

또한 기장 앞바다는 한류 난류가 교차하기도 하여, 플랑크톤이 가득차니까 봄과 가을에 멸치를 모으는 이유도 여기 있고, 이래서 기장미역이 맛이 있는 이유가 되기도 한다.

정리하자면, 

기장미역이 좋은 환경적 요인으로

  • 첫째, 거친연안의 바닷물이 섞이는 곳
  • 둘째, 유기물이 풍부한 곳
  • 셋째, 한류와 난류가 교차하여 플랑크톤이 가득 차는 곳

이라 할 수 있다.

3. 기장미역과 관련된 이야기들

  • 산모와 미역국의 경우
    아이를 낳은 산모는 기장미역이 좋다하여 미역국을 많이 먹는데, 삼시세끼 미역국을 먹어야 한다고들 알고 있다. 그렇지만 삼시세끼 미역국을 먹었을때, 요오드 과잉으로 중독에 이를 수 있다고 의사가 조언한 바 있다.
  •  미역국을 먹으면 시험에 떨어진다?
    근래 들어 생긴 말인것 같다는 백과사전에서 보면 알 수 있듯, 증명된 바는 없다.

 

미역에 대해 더 이야기 해보자면, 
바다에 사는 풀을 해조라 한다. 우리말로는 바닷말이다. 바닷말을 식용하는 지역은 세계에서 그리 넓지 않다.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일부, 하와이 등에서 먹는다. 우리나라 바다에서는 약 500종의 바닷말이 자라며 김, 다시마, 미역, 톳, 파래, 청각 등 50여 종을 식용한다. 이 식용의 바닷말 중에서 가장 많이 먹는 것이 미역이다. 갈조류 다시마과에 속한다. 미역은 우리나라의 모든 연안에서 자란다. 예전에는 바위에 붙어 자라는 미역을 채취하였으나 요즘의 미역은 거의가 양식으로 얻는다.
[네이버 지식백과] 기장 미역 - 봄볕의 향이 더해진 바닷말 (팔도식후경, 황교익)
 

댓글